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4)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핵심 요약 필기 준비 TCP/IP ( 17문제 ) 네트워크일반 ( 10문제 ) NOS ( 18 문제 ) 네트워크운용기기 ( 5문제 ) 시험시간 : 50분 합격점수 : 60점 이상 ( 50문제중, 30문제 이상 ) 과락은 없음 #기출 : COMCBT.COM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www.comcbt.com 요약본이다. 한번정도만 흝어보고 가자. 내용은 크게 어렵지 않다. 기출 반복 풀이가 중요하다. https://ohjeong.notion.site/2-16137ab217b0448d92f8d7bad3728166 노션 링크에 정리해두었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준비하기 국가공인 자격증인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취득을 위해 알아본다. 먼저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져, 시험을 보게되는데 필기 내용은 아래와 같다. 난이도는 쉬움 이라 크게 고민안하고 공부시작. 합격 기준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이면 합격이다. https://www.icqa.or.kr/cn/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고객센터 02-7450-500 Fax.02-7450-320 E-mail.Web_master@icqa.or.kr www.icqa.or.kr 위 사이트에서 시험 신청이 가능하다.
Servlet이란 Servlet 서블릿이란 ? 서버쪽에서 실행되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동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바 클래스이다. 때문에 자바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지만 일반 자바 프로그램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톰캣이나 컨테이너 같은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 서블릿의 동작 과정 서블렛은 서버에서 실행되다가, 웹브라우저에서 요청시 해당기능을 수행한 후 웹 브라우저에 결과를 전송한다. 서버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보안과 관련된 기능도 훨씬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요청 웹서버에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에 위임 WAS에서 서블릿 호출 서블릿 실행 WAS로 결과 반환 웹 서버로 결과 전달 클라이언트에게 결과 응답 서블릿의 특징 서버 쪽에서 실행되면서 기능을 수행한다. 기존의 정적인 ..
SQLD 준비 및 정리 ( 기출 포함 ) SQLD 란? SQL 개발자(SQLD*, SQL Developer)란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추출하는데 있어서 정확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SQL을 작성할 수 있는 개발자를 말한다. 즉, SQLD는 SQL 개발자 국가공인자격이다. SQLD 취득 준비 데이터 전문가 카페에서, 이론요약본을 꼼꼼하게 1회 읽은 뒤 기출문제 풀이 및 노랭이 풀이 반복 이론 요약본 및 기출문제 첨부 이론 요약서는 이전 글 확인! 기출문제는 분할 압축해서 첨부 제가 정리한 노션링크도 공유합니다.
SQLD 이론 요약 및 정리 1장.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및 유의점 중복 : 같은 시간 같은 데이터 제공 비유연성 : 사소한 업무 변화에, 데이터 모델이 수시로 변경되면 안된다. 비일관성 : 신용 상태에 대한 갱신없이, 고객의 납부 이력 정보 갱신 안됨. 데이터 모델링 개념, 논리,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독립성 요소 외부 스키마 : 개개인 사용자가 보는 개인적 DB스키마 내부 스키마 : 모든 사용자 관점을 통합한 전체 DB 개념 스키마 : 물리적 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적 저장됨 데이터 독립성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에 영향을 주지않음 물리적 독립성 : 내부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개념 스키마는 영향이없음 MAPPING ( 사상 ) : 상호 독립적인 개념을 연결시켜주는 ..
SQLD 노랭이 오답노트 모델링은 현실세계에 대해서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 중 모델링의 특징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 현실게계를 형식에 맞추어 추상화의 의미를 가질 수 있음 시스템 구현만을 위해 진행하는 사전단계 작업으로, db구축만을 위해 진행하는 사전단계 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전 작업의미가 있음. 복잡한 현실을 제한된 언어나 표기법을 통해 이해하기 쉽게 하는 단순화의 의미 애매모호함을 배제하고 누구나 이해가능하게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정확화 모델링은 단지 시스템 구현만을 위한것이 아닌 시스템 구현을 포함한 업무 분석 및 업무 형상화 목적이다. 다음 설명 중 데이터 모델링이 필요한 주 이유로 부적절한 것은 ? 업무정보를 구성하는 기초 정보에 대해 일정 표기법에 의해 표현한다. 분..
REST & REST API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에 의한 상태 전달이다. 자원(resource)의 표현(representation) 자원: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 -> Ex) 문서, 그림, 데이터, 해당 소프트웨어 자체 등 자원의 표현: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 Ex) DB의 학생 정보가 자원일 때, ‘students’를 자원의 표현으로 정한다. 상태(정보) 전달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달한다. JSON 혹은 XML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 일반적..
JAVA 정리 - '5분 요약 자바' JAVA 와 C/C++ 등의 객체지향언어 차이점 가장 큰 차이점은 실행환경이다. JAVA 개발 : 컴파일 OR 컴파일 + JAR 압축 JAVA는 링크 과정이 없이 컴파일러가 바로 바이트코드를 생성해준다. C/C++ 개발 : 컴파일 + LINK JAVA 언어의 장단점 장점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JVM 이라는 가상머신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특정 운영체제에 종속되지 않는다. 객체지향 언어이다. 객체지향적으로 프로그래밍 하기 위해 캡슐화, 상속화, 추상화, 다형성 등의 특징을 갖고있다. 비교적 이해하고 배우기 쉽다. 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 해준다. Gabage Collector가 일어나서 정리해줌. 별도의 관리가 필요없으니, 로직에 집중하기 좋다. 오픈 소스이다. 많은 JAVA 개발자가 존재하고 생태계가 잘 구..